이유

  • 아이패드용 카카오톡이 아이패드 배터리 광탈의 주범!??

    오랜 기다림 끝에 2018. 11. 12. 드디어 카카오톡(이하 ‘카톡’)이 이용자들의 기대에 응답하고 아이패드용 카톡을 정식으로 론칭 했습니다.1

    평가 및 리뷰 점수가 2.7 이네요.
    평가 및 리뷰 점수가 2.7 이네요. (2019. 7월 기준)

    저도 아이패드용 카톡을 오래 기다린 사람 중 한 명으로서 아이패드 카톡이 업데이트 됨과 동시에 바로 설치하고 지금까지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고 있는 아이패드는 아이패드 프로 1세대 12.9인치 모델입니다. 운 좋게 은평 이마트 A-Store2에서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펼치기

    아이패드 프로 12. 9인치 1세대 모델은 한국에서 2015년 12월초 경에 정식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당시 물량이 부족하여 공홈에서는 주문하고서 1-2개월 이상 기다렸어야 했었고, 리셀러 매장에서는 구입을 위한 눈치 작전이 치열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2019. 7월) 아이패드 프로 1세대 12.9인치 모델을 사용한 것은 어느 새 4년째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간에 아이패드의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문제로 2018. 1월 경에 리퍼 받았으니 지금 사용하고 있는 아이패드는. 1년 7개월째 사용하고 있는 셈 입니다.

    저는 아이패드를 업무용(주로 노트 필기)으로 사용하고 그 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물론 아이패드의 뛰어난 능력으로 드로잉도 하고 사진 편집, 넷플릭스 시청.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만, 회사에서는 컴퓨터로 주로 작업하고 집에서는 TV나 플스4로 놀거리를 즐기다보니 업무 용도 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펼치기

    그럼에도 저에게 아이패드는 매우 유용한 기기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제가 아이패드를 업무용으로 어떻게 활용하는지 공유하면 좋겠네요!

    그런데,

    어느 날 부터인지 제 아이패드 배터리가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소진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분명 밤새 충전하고 아침에 출근할 때 배터리 충전 상태 100% 인 것을 확인했는데 사무실에 도착해서 확인해보면 80% 미만으로 소진되어 있고, 점심 시간이 오기 전에 5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전혀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 커버를 닫아 놓은 상태에서 말이죠!!

    완충 상태로 미팅에 들어가면 1시간 만에 방전되어 버렸습니다. 이 지경이 되면 절대로 포터블 기기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 늘 전원선을 연결한 채로 사용해야 할 지경이니까요.

    문제를 인식하고 원인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저는 우선 아이패드의 배터리 수명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제 아이패드는 비슷한 시기3에 구매한 아이폰보다 훨씬 적은 사용을 하였고 특별히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는 작업(이를테면 영상편집, 사진편집 등)을 하지도 않았으니까요.

    그렇다면 다음은 소프트웨어 문제가 아닐까 의심했습니다. 우선 아이패드->설정->배터리에 들어가서 상태를 보았습니다.

    아이패드의 설정->배터리 화면 입니다.

    여기 매우 유력한 용의자(=카톡)가 발견되었습니다!

    바로 카톡 어플을 아이패드 메모리에서 소거하고 며칠 간 배터리 상태를 보았습니다. 그 결과, 카톡이 실행 중일 때는 아이패드 화면을 꺼 놓은 상태에서도 반나절 만에 광탈하던 배터리가 이틀이 지나도 멀쩡히 살아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로써 배터리 광탈 문제는 해결이 되었고, 아이패드용 카톡에서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일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카톡 메시지가 오면 서버로부터 신호를 받고 사용자에게 알려줘야 하기 때문에 카톡 어플이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일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됩니다.4 다만 그러면 휴대폰에서는 그 정도로 배터리 소모가 심하지 않은데 이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의문이네요^^;

    혹시 아이패드 사용 중 저와 같이 배터리 광탈 문제를 겪고 계신 분이 있으시다면, 실행 중인 앱에 카톡 어플이 활성화 되어있지는 않은지 살펴보세요.


  • 블로그?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저는 우연한 계기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5

    그 과정에서 번갯불에 콩 볶듯이 Amazon Lightsail6 이라는 것, 도메인을 구매7한다는 것, 서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또 테마를 적용해 꾸미는 것들을 급하게 배워 지금의 이 블로그를 오픈했습니다.

    급하게 배운 덕분에 급하게 까먹은 것은 비밀..

    이유요?

    갑작스럽게 개설한 블로그이지만 사실 저는 이전부터 제가 관심있는 것, 잘할 수 있는 것 등에 관하여 내용을 정리하고 글로 작성하여 두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이루어진 블로그 개설은 우연한 계기가 있었다는 핑계도 있었지만, 저는 이미 오래 전 부터 마음 속으로 블로그를 개설하기 위한 준비를 해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저는 블로그를 개설하기 전까지 인터넷에 공간을 얻고 그 곳에 블로그를 개설하는 일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인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모르는 것이 없는 구글은 이번에도 저에게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저는 구글에 단순히 “블로그 개설” 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했을 뿐인데 이미 블로그 개설에 관하여 고민을 하고 생각을 정리해둔 글들을 많이 찾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 글들을 읽어보니 큰 틀에서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를 추천하는 글들이 많았습니다.

    각각 장단점이 명확한 듯 했는데 네이버는 국내 1위 포털사이트 답게 콘텐츠 노출이 용이해 접근성이 좋은 반면 폐쇄적이라는 점, 티스토리는 상대적으로 개방적이나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대조적으로 보였습니다. 펼치기

    깊이 들어가면 접근성이 좋다거나 나쁘다는 것, 개방적이라거나 폐쇄적이라는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느냐에 따라 달리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저는 깊이 들어가지 않겠습니다 😎

    다만 저는 회사에서 운영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의 블로그보다는 개인 홈페이지 같은 개념의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었습니다. 펼치기

    2000년대 초반 열심히 관리하고 글도 써 제꼈던 싸이월드가 쇠락을 길을 걷게되면서 저의 미니홈피도 죽어버린 그 아픈 기억때문은 아닙..

    애초에 블로그8라는 것이 그 어원처럼 웹에 일기쓰듯 차곡차곡 올려두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는데, 가능하면 제가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곳을 활용하고 싶었습니다. 다만 그렇게 하려면 시간과 비용과 노력을 필요 이상으로 투자해야하니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이었고, 적당히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면서도 제가 원하는 방향에서 타협한 것이 워드프레스를 이용하는 것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제가 쌓은(그리고 쌓아갈) 콘텐츠가 온전히 제 관리 아래에 있다는 기분이 매우 좋습니다. 이제 이곳에 콘텐츠를 쌓아갈 일만 남은 것 같습니다.

    어떤 콘텐츠를 공유할 지 벌써 고민이 되네요^^